부동산 점유이전금지 가처분 신청서 양식, 작성법, 예시
부동산 점유이전금지 가처분 신청을 고민 중이신가요? 이 콘텐츠에서는 점유이전금지 가처분의 의미부터 작성 방법까지 실무에 꼭 필요한 핵심 정보를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점유이전금지 가처분이란?
임대차 계약이 끝났는데 상대가 부동산을 떠나지 않거나, 경매 낙찰을 받았는데 누군가 점유를 이전한다면 정말 당황스럽습니다.
명도소송에서 승소했는데 이미 점유가 다른 사람에게 넘어갔다면, 승소 판결의 실효성을 담보할 수 없게 됩니다.
판결의 효력은 기존의 채무자를 대상으로 할 뿐 제삼자에게까지 미치지 않기 때문인데요.
이런 곤란한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가 바로 점유이전금지 가처분입니다.
소송 결과가 나오기 전에 부동산이 제3자에게 넘어가는 것을 법원이 미리 막아주는 예방적 조치입니다.
명도소송 전 고려해 보세요!
소송은 6개월에서 1년 정도로 길게 소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내용증명을 활용해 빠르게 대응해보는 것도 전략적으로 유리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점유이전금지 가처분 신청서
점유이전금지 가처분은 재판 전 부동산을 허락 없이 다른 사람에게 넘기지 못하도록 하는 조치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신청 자격을 가진 사람이 신청서를 써서 법원에 제출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부동산 점유이전금지 가처분 신청서입니다.
이때 신청서와 소명 자료를 꼼꼼하게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점유이전금지가처분 신청서
라면이 끓기 전에 쓰는 손쉬운 자동작성 양식
가처분 신청 자격은 누구에게 있을까?
가처분은 부동산의 인도 및 명도 청구권을 가진 사람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소송의 본안 판결 전까지 점유 상태를 유지해 강제집행의 실효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신청서에 담겨야 할 주요 항목
부동산 점유이전금지 가처분 신청서에는 아래와 같은 정보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 채권자·채무자 정보: 성명, 주소, 연락처 등
- 가처분 대상: 보호받고자 하는 권리(피보전권리), 부동산의 가격
- 신청 취지: 무엇을 어떤 방식으로 막고자 하는지
- 신청 이유: 가처분이 필요한 현실 사정과 근거(예: 매매사실)
- 소명 자료: 등기부, 건축물대장 등 증빙자료
- 첨부 서류: 신분증, 계약서, 기타 참고자료
신청서 작성 예시
- 신청 취지: 채무자가 그 점유를 타인에게 이전하거나 또는 점유명의를 변경해서는 아니 된다.
- 신청 이유: 채권자는 2025. 09. 09. 이 사건 부동산인 별지목록 기재 부동산에 대해 전 소유자로부터 적법하게 매수한 소유권자입니다. 채무자는 아무런 권리 없이 별지목록 기재 부동산을 점유하고 있습니다.
처음 작성하신다면 구조가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는데요.
로폼에서 제공하는 자동작성 양식을 사용하면 굉장히 쉽게 작성이 가능합니다.
자세한 문구는 물론 모든 내용이 입력한 사항에 맞게 자동으로 써집니다.
이를 통해 시간을 절약하고, 놓칠 수 있는 항목까지 꼼꼼하게 챙길 수 있습니다.
민사집행법 제300조
②가처분은 다툼이 있는 권리관계에 대하여 임시의 지위를 정하기 위하여도 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처분은 특히 계속하는 권리관계에 끼칠 현저한 손해를 피하거나 급박한 위험을 막기 위하여, 또는 그 밖의 필요한 이유가 있을 경우에 하여야 한다.
점유이전금지가처분 신청서
라면이 끓기 전에 쓰는 손쉬운 자동작성 양식
더 다양한 로폼 서비스를
만나보세요